반응형
엑셀이나 구글 스프레드시트를 다루다 보면, 줄바꿈, 공백, 특수기호처럼 눈에는 잘 안 보이지만 꼭 필요한 문자들을 표현해야 할 때가 있죠!
이럴 때 활용하는 함수가 바로 CHAR() 함수입니다.
CHAR() 함수는 숫자 코드에 해당하는 문자를 불러오는 함수입니다.
예를 들어 CHAR(10)은 줄바꿈, CHAR(32)는 공백, CHAR(176)은 온도 기호(°)를 의미하죠.
데이터를 정리하거나 보고서를 자동화할 때 이런 제어문자를 알아두면 훨씬 효율적으로 작업할 수 있습니다.
특히 줄바꿈 문자(CHAR(10))는 한 셀 안에서 내용을 구분하거나, SUBSTITUTE 함수와 함께 사용해서 여러 줄 데이터를 한 줄로 바꾸는 등 실무에서 자주 사용됩니다.
아래 표는 실무에서 자주 사용하는 CHAR() 코드 번호를 한눈에 보기 쉽게 정리한 내용입니다.
작업 중 필요한 기호가 생길 때마다 이 표를 참고해보세요.
|
코드번호
|
결과
|
설명
|
|
9
|
↹ (탭)
|
탭 문자
|
|
10
|
줄바꿈
|
Alt+Enter와 동일 (가장 많이 사용)
|
|
13
|
줄바꿈(캐리지 리턴)
|
일부 시스템에서 CHAR(10)과 함께 사용됨
|
|
32
|
(공백)
|
스페이스 한 칸
|
|
33–47
|
! " # $ % & ' ( ) * + , - . /
|
특수문자 구간 ①
|
|
48–57
|
0–9
|
숫자
|
|
58–64
|
: ; < = > ? @
|
특수문자 구간 ②
|
|
65–90
|
A–Z
|
대문자 알파벳
|
|
91–96
|
`[ \ ] ^ _ ``
|
특수문자 구간 ③
|
|
97–122
|
a–z
|
소문자 알파벳
|
|
126
|
~
|
물결표
|
|
160
|
(non-breaking space)
|
웹에서 줄바꿈되지 않는 공백
|
|
169
|
©
|
저작권 표시
|
|
174
|
®
|
등록상표 표시
|
|
176
|
°
|
도(온도) 기호
|
|
8361
|
₩
|
원화 기호(스프레드시트에서 유니코드로 입력 가능)
|
반응형
'엑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하나의 셀 안에 줄 바꿈 된 정보를 각 열로 나누기 (0) | 2025.11.11 |
|---|---|
| 확인란(양식 컨트롤)으로 체크리스트 만들기: ChatGPT로 자동 연결까지 완성! (0) | 2025.10.21 |
| 데이터 입력할 때 도움주는 기초 기능 (2) | 2025.08.25 |
| 텍스트와 숫자가 섞인 데이터를 초간단 분리하는 엑셀 팁 (2) | 2025.08.21 |
| 엑셀 슬라이서로 보고서 필터링 이렇게 쉬워요! (2) | 2025.07.28 |
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