완성 파일 다운로드
지금은 쓰지 않는 '아래 아'를 가끔은 써 보고 싶을 때가 있습니다.
그럴 때 한글에서 간단하게 입력할 수 있습니다.
모음 아를 연속 두 번 누르거나 <Shift + ㅏ>를 누르면 입력됩니다.
본격적으로 옛한글을 써 보려 하면 문제가 생깁니다.
'나랏말ᄊᆞ미'까지는 그냥 입력할 수 있습니다.
다음 글자를 입력하려면 기본 글자판에서 입력할 수 없고 특별한 글자판으로 바꿔야 합니다.
<Alt + F2>를 눌러 [입력기 환경 설정] 창을 나타냅니다.
'현재 글자판'에서 '두벌식 표준' 대신 '두벌식 옛글'을 선택하고 [설정]을 클릭합니다.
받침으로 입력한 글자는 지금은 사용하지 않는 '옛이응'입니다.
<Shift + ㅇ>을 입력해 나타냅니다.
지금은 사용하지 않는 '여린 히읗'을 입력하려면 <Shift + ㅎ>을 입력합니다.
앞 글자 '제'를 쓰고 오른쪽 화살표를 한 번 눌러 글자 입력을 끝내고 비읍 디읃을 연속으로 입력한 뒤 모음 으를 입력합니다.
쌍 이응은 앞 글자를 쓴 뒤 오른쪽 화살표를 한 번 눌러 글자 입력을 끝내고 연속으로 이응을 두 번 입력합니다.
앞 글자 '수'를 쓴 뒤 오른쪽 화살표를 한 번 눌러 글자 입력을 끝내고 비읍과 이응을 누른 뒤 모음 이를 입력합니다.
앞 글자 '로'를 쓴 뒤 오른쪽 화살표를 한 번 눌러 글자 입력을 끝내고 비읍과 시옷을 누른 뒤 모음 우를 입력합니다.
'훈민정음 어제 서문'을 모두 입력했습니다.
지금은 사용하지 않는 글자 중 '반시옷'은 <Shift + ㅁ>을 입력해 나타냅니다.
옛한글 입력을 마치고 원래 글자판으로 되돌아가려면 <Shift + Space>를 입력합니다.
이렇게 입력한 옛한글을 복사해 인터넷 검색창에 붙여 넣거나 엑셀에 붙여 넣으면 입력한 모양 그대로 나타납니다.
관련 내용을 인터넷에서 검색하다 보니 https://akorn.bab2min.pe.kr/input/를 찾았습니다.
온라인에서 옛한글을 바로 입력할 수 있습니다.
필요하신 분께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.
'기초에서 실무까지 > 문서작성 실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한글과 엑셀에서 셀에 대각선을 삽입하고 양쪽으로 글자를 배치하는 방법 #한글문서작성실무 (0) | 2022.02.06 |
---|---|
개요 번호와 스타일 사용, 시험지 서식 쉽게 작성하기 #한글문서작성실무 (0) | 2022.02.06 |
문단 번호 기능을 이용해 번호 나타내기 #한글문서작성실무 (0) | 2022.02.06 |
수준별로 문단 번호를 붙여 순서가 있는 문서 작성하기 #한글문서작성실무 (0) | 2022.02.06 |
본문 상용구를 다른 컴퓨터로 가져가서 재사용하는 방법 (0) | 2022.01.26 |